맨위로가기

체질량 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질량 지수(BMI)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835년 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72년 앤설 키스 등의 연구를 통해 체지방률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세계 보건 기구(WHO)는 성인 BMI가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BMI는 인종, 성별, 근육량 등을 고려하지 못해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체지방률, 허리둘레, 허리-키 비율 등 다양한 대체 지표가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무게 - 과체중
    과체중은 체질량 지수 25 이상으로 정의되며 비만 전 단계와 비만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체적 지수, 피부 두께 측정 등으로 측정 가능하고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건강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 수명 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 몸무게 - 저체중
    저체중은 체질량 지수 18.5 미만으로 평가되며, 유전, 영양 불량, 질병 등으로 발생하고 면역력 저하, 골다공증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식단 조절과 운동을 통한 체중 증진이 필요하다.
  • 지표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지표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질량 - 국제 킬로그램 원기
    국제 킬로그램 원기(IPK)는 1889년 킬로그램의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나, 질량 변화로 인해 안정성 논란이 발생하여 SI 단위계 재정의의 원인이 되었다.
  • 질량 - 몰 질량
    몰 질량은 물질 1몰의 질량으로 원자, 분자, 이온 등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화학 반응식 계산이나 화합물 조성 분석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질량 분석법 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체질량 지수
개요
명칭체질량 지수
동의어케틀레 지수
진단 정보
MedlinePlus007196
MeSH IDD015992
LOINC39156-5
정의
설명체질량 지수 (BMI)는 몸무게와 키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체중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계산식몸무게(kg) / (키(m))^2
범주
저체중BMI < 18.5
정상체중18.5 ≤ BMI < 25
과체중25 ≤ BMI < 30
비만BMI ≥ 30
고도 비만BMI ≥ 35

2. 역사

비만과 체질량 지수


아돌프 케틀레는 1830년에서 1850년 사이에 "사회 물리학"을 개발하면서 체질량 지수(BMI)의 기초를 고안했다.[2] 케틀레는 자신의 지수를 의학적 평가 수단으로 사용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 당시 이 지수는 케틀레 지수라고 불렸으며, 그는 l'homme moyen프랑스어 (평균적인 사람)에 대한 연구의 한 구성 요소로 사용했다. 케틀레는 평균적인 사람을 사회적 이상으로 생각했고, 이를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질량 지수를 개발했다.[65] 스칸디나비아 장애 연구 저널에 따르면, 케틀레의 평균적인 사람에 대한 이상화는 10년 후 프랜시스 골턴에 의해 우생학 개발에서 더 발전되었다.[3]

인체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현대적인 용어 "체질량 지수"(BMI)는 1972년 7월 ''만성 질환 저널''에 앤설 키스 등이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 키스는 BMI가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상대적 비만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른 어떤 상대적 체중 지수만큼이나 좋다"고 주장했다.[4][5][6]

체지방을 측정하는 지수에 대한 관심은 서구권 사회에서 비만이 증가하면서 생겨났다. 키스는 BMI가 ''인구'' 연구에는 적합하지만, 개인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명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단함 때문에 예비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7]

체질량 지수는 kg/m2로 표시되며, 질량은 킬로그램, 키는 미터 단위로 계산된다. 파운드 (질량)인치를 사용하는 경우 703 (kg/m2)/(lb/in2)의 변환 계수를 적용한다.

"체중/신장2"으로 구성된 지수는 벨기에수학자이자 통계학자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1835년에 개발되었다.[90] 이후, 독일의 위생학자 이그나츠 카우프(Ignaz Kaupde)에 의해 소아 발육 지수로 이용되는 등 널리 사용되었으며, 1972년의 키스 등의 연구[91]에 의해 이 지수가 체지방률과 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신체 조성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지표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후 BMI로 불리게 되었다. 1985년에는 Garrow와 Webster의 연구[92]에 의해 비만도의 대체 지표로서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93]

3. 계산법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BMI = 체중(kg) / 신장(m)²)[7]

체질량 지수는 kg/m2로 표시되며, 질량은 킬로그램, 키는 미터 단위로 계산된다. 파운드 (질량)인치를 사용하는 경우 703 (kg/m2)/(lb/in2)의 변환 계수를 적용한다. (파운드와 피트를 사용하는 경우 4.88의 변환 계수를 사용한다.)[9]

:\mathrm{BMI} = \frac{\text{mass}_\text{kg}}^2}

= \frac{\text{mass}_\text{lb}}^2}\times 703

체중의 단위로는 kg (킬로그램), 신장에는 m (미터)를 사용하며, BMI의 단위는 kg/m2이다. 체중이 ''w'', 신장이 ''h''인 사람의 BMI (카우프 지수)는,

:\mathrm{BMI}=\frac{w}{h^2}

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신장 1.6m (160cm), 체중 50kg인 경우,

:\mathrm{BMI}=\frac{\text{50 kg}}^\text{2}}\times 703 = \frac{\text{50 kg}}^\text{2}}\times 703 \fallingdotseq \text{19.5 kg/m}^2

가 된다.

4. 비만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비만학회는 체질량 지수(BMI)를 기준으로 비만을 판정한다. BMI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kg/m2)이다.

일반적으로 BMI가 25 kg/m2 이상이면 과체중, 30 kg/m2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BMI는 개인의 체지방량이나 근육량 등 체성분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10] 허리둘레, 체지방률 등 다른 지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대한비만학회는 BMI 수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비만도를 분류한다.

대한비만학회의 비만도 분류
분류BMI (kg/m2)
저체중10 미만
정상10 - 23.9
과체중24 - 29.9
경도 비만 (1단계 비만)30 - 36.9
중(重)도 비만 (2단계 비만)32 - 38.9
고도 비만39 이상



BMI는 비만과 관련된 당뇨병, 고혈압, 뇌혈관 장애, 허혈성 심장 질환 등의 위험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76] 또한 저체중의 경우 영양 실조나 만성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76]

스포츠계에서는 스키 점프나 노르딕 복합과 같은 스키 경기의 일부에서 선수의 과도한 감량을 막고 체중에 따른 불리함을 줄이기 위해 BMI를 이용한 체중 제한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

4. 1. 국제 기준

세계 보건 기구(WHO)는 성인의 BMI가 25 kg/m2 이상이면 과체중, 30 kg/m2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한다.[11] 그러나 제2형 당뇨병동맥경화를 동반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WHO의 과체중 기준치인 25 kg/m2보다 낮은 BMI에서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세계 보건 기구(WHO)의 기준[81][82]
상태BMI 지표
저체중(심한 저체중)16.00\ \mathrm{kg}/\mathrm{m}^2 미만저체중(18.50\ \mathrm{kg}/\mathrm{m}^2 미만)
저체중(중등도 저체중)16.00\ \mathrm{kg}/\mathrm{m}^2 이상, 17.00\ \mathrm{kg}/\mathrm{m}^2 미만
저체중(경도 저체중)17.00\ \mathrm{kg}/\mathrm{m}^2 이상, 18.50\ \mathrm{kg}/\mathrm{m}^2 미만
정상 체중18.50\ \mathrm{kg}/\mathrm{m}^2 이상, 25.00\ \mathrm{kg}/\mathrm{m}^2 미만표준
과체중(비만 전 단계)25.00\ \mathrm{kg}/\mathrm{m}^2 이상, 30.00\ \mathrm{kg}/\mathrm{m}^2 미만과체중(25.00\ \mathrm{kg}/\mathrm{m}^2 이상)
비만(1단계)30.00\ \mathrm{kg}/\mathrm{m}^2 이상, 35.00\ \mathrm{kg}/\mathrm{m}^2 미만비만(30.00\ \mathrm{kg}/\mathrm{m}^2 이상)
비만(2단계)35.00\ \mathrm{kg}/\mathrm{m}^2 이상, 40.00\ \mathrm{kg}/\mathrm{m}^2 미만
비만(3단계)40.00\ \mathrm{kg}/\mathrm{m}^2 이상



다른 인종과 출신의 사람들은 체질량 지수(BMI), 체지방률, 건강 위험 간에 서로 다른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아시아계 사람들은 내장 지방이 쌓이기 쉬워, 미국 질병 예방 통제 센터(CDC)에서는 아시아계 미국인은 BMI가 23 kg/m2 이상부터 주의해야 한다고 권고한다.[80]

4. 2. 한국 기준

대한비만학회는 BMI 25 kg/m²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81] 이 외에도 고도 비만, 중도 비만, 경도 비만 등으로 세분화된 기준을 제시하며, 허리둘레(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를 기준으로 복부 비만을 আলাদাভাবে 진단한다.

대한비만학회의 BMI에 따른 비만 분류는 다음과 같다.

대한비만학회의 비만 기준[81]
상태BMI 지표
저체중10 미만
정상10 - 23.9
과체중24 - 29.9
경도 비만 (1단계 비만)30 - 36.9
중(重)도 비만 (2단계 비만)32 - 38.9
고도 비만39 이상


4.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준

다른 인종과 출신의 사람들은 체질량 지수(BMI), 체지방률, 건강 위험 간에 서로 다른 연관성을 보이며, 제2형 당뇨병동맥경화증,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세계 보건 기구(WHO)의 과체중 기준치인 25 kg/m2보다 낮은 BMI에서 더 높다.[17] 관찰된 위험에 대한 기준치는 인구 집단에 따라 다르다.

홍콩의 병원 관리국은 다음과 같은 체질량 지수 범위를 권장한다:[17]

홍콩의 체질량 지수
분류체질량 지수 (kg/m2)
저체중 (건강하지 않음)< 18.5
정상 범위 (건강)18.5 – 22.9
과체중 I (위험)23.0 – 24.9
과체중 II (중도 비만)25.0 – 29.9
과체중 III (고도 비만)≥ 30.0



2000년 일본비만학회(Jap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JASSO)는 다음과 같은 체질량 지수(BMI) 범주 표를 제시한다:[18][19][20]

일본의 BMI
범주BMI (kg/m2)
저체중(마름)< 18.5
정상 체중18.5 – 24.9
비만(1단계)25.0 – 29.9
비만(2단계)30.0 – 34.9
비만(3단계)35.0 – 39.9
비만(4단계)≥ 40.0



싱가포르에서는 2005년, 보건 증진 위원회(HPB)가 BMI 기준 수치를 개정했다. 이는 싱가포르를 포함한 많은 아시아 인구가 다른 국가의 일반적인 BMI 권장 사항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의 체지방을 가지고 있으며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BMI 기준은 체중보다는 건강 위험에 중점을 두고 제시된다.[21]

싱가포르의 BMI
범주BMI (kg/m2)건강 위험
저체중< 18.5영양 결핍 및 골다공증 가능성.
정상18.5 – 22.9낮은 위험 (건강 범위).
경도 비만에서 중등도 비만23.0 – 27.4심장 질환,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발병의 중간 위험.
고도 비만≥ 27.5심장 질환,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발병의 높은 위험. 대사 증후군.



일본 비만 학회에서는 BMI가 22 kg/m2인 경우를 표준 체중으로, 25 kg/m2 이상인 경우를 비만, 35 kg/m2 이상인 경우를 고도 비만, 18.5 kg/m2 미만인 경우를 저체중으로 하고 있다.[81]

4. 4. 어린이 및 청소년

체질량 지수(BMI)는 2세에서 2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는 성인과 다른 방식으로 적용된다. 성인과 동일한 계산법을 사용하지만, 같은 연령대의 다른 어린이 및 청소년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저체중 및 과체중에 대한 고정된 기준치 대신, 체질량 지수는 동일한 성별 및 연령의 어린이와 백분위를 비교한다.[12]

5번째 백분위수 미만의 체질량 지수는 저체중, 95번째 백분위수 이상은 비만으로 간주된다. 85번째에서 95번째 백분위수 사이의 체질량 지수를 가진 어린이는 과체중으로 간주된다.[13]

2세에서 20세 사이 남자의 연령별 체질량 지수 백분위


2세에서 20세 사이 여자의 연령별 체질량 지수 백분위


2013년 영국의 연구에 따르면 12세에서 16세 사이의 여성은 같은 연령대의 남성보다 평균 더 높은 체질량 지수를 보였다.[14]

4. 5. 임산부

임산부의 체중 관리에도 BMI가 사용되며, 임신 주수에 따라 정상 범위도 다르다.[87]

일본 비만 학회에서는 임신 초기(5 - 16주)에는 24.9\ \mathrm{kg}/\mathrm{m}^2, 중기(17 - 28주)에는 27.1\ \mathrm{kg}/\mathrm{m}^2, 말기(29 - 40주)에는 28.2\ \mathrm{kg}/\mathrm{m}^2를 초과하는 임산부를 비만 임산부로 판정한다.[88]

주령하한상한
1618.5\ \mathrm{kg}/\mathrm{m}^223.7\ \mathrm{kg}/\mathrm{m}^2
2019.3\ \mathrm{kg}/\mathrm{m}^224.3\ \mathrm{kg}/\mathrm{m}^2
2420.0\ \mathrm{kg}/\mathrm{m}^225.5\ \mathrm{kg}/\mathrm{m}^2
2820.6\ \mathrm{kg}/\mathrm{m}^225.8\ \mathrm{kg}/\mathrm{m}^2
3221.5\ \mathrm{kg}/\mathrm{m}^226.5\ \mathrm{kg}/\mathrm{m}^2
3622.2\ \mathrm{kg}/\mathrm{m}^227.0\ \mathrm{kg}/\mathrm{m}^2
4022.7\ \mathrm{kg}/\mathrm{m}^227.9\ \mathrm{kg}/\mathrm{m}^2



위 두 기준을 비교하면, 임신 17주의 경우 과체중 기준이 BMI로 3.2\ \mathrm{kg}/\mathrm{m}^2 정도 차이가 난다. 신장 160cm인 임산부의 경우 과체중 기준이 8.2kg 정도 차이가 난다.

『산부인과 진료 가이드라인 2011』에 따르면, "임신 중 체중 증가 권장치에 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고, 개입 연구도 극히 적다. 따라서, 엄격한 체중 관리를 할 근거가 되는 증거가 부족하여,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 엄격하게 체중 증가를 지도할 근거는 반드시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개인차를 고려하여 완만한 지도를 유의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영국 National Collaborating Center for Women's and Children's Health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초진 시에 신장 체중을 측정하여 평가를 하고, 영양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만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하며, 통상적인 임산부 건강 검진에서는 체중을 측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정기적인 체중 측정에는 이점이 없고, 임산부에게 불필요한 걱정을 줄 뿐이라고 한다).[89]

5. BMI와 건강

체질량 지수(BMI)는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위험 요인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BMI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건강이 나쁜 것은 아니며, 개인의 건강 상태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특히,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낮은 BMI에서도 건강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998년, 미국 국립 보건원은 세계 보건 기구(WHO) 지침에 맞춰 정상/과체중 기준을 BMI 25로 낮췄다. 이로 인해 이전에 '건강'으로 분류되었던 약 2,500만 명의 미국인이 '과체중'으로 재분류되었다.[25][26] 세계 보건 기구(WHO)는 동남아시아 체형에 대한 정상/과체중 기준을 BMI 약 23으로 낮출 것을 권장하며, 다양한 체형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추가적인 개정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27]

2007년 조사에 따르면 당시 미국인의 63%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으며, 26%는 비만 범주(BMI 30 이상)에 속했다. 2014년에는 미국 성인의 37.7%가 비만이었다. 2015-2016년 미국 국립 건강 및 영양 검사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남성과 여성의 71.6%가 BMI 25 이상이었다.[29] BMI 30 이상인 비만은 미국 성인의 39.8%에서 발견되었다.

다음은 20세 이상 미국 남성과 여성의 BMI 값과 연령별 백분위수를 나타낸 표이다.[30]

20세 이상 남성의 체질량 지수(kg/m2) 값과 연령별 백분위수: 미국, 2011–2014
연령5번째10번째15번째25번째50번째75번째85번째90번째95번째
≥ 20 (전체)20.722.223.024.627.731.634.036.139.8
20–2919.320.521.222.525.530.533.135.139.2
30–3921.122.423.324.827.531.935.136.539.3
40–4921.923.424.325.728.531.934.436.540.0
50–5921.622.723.625.428.332.034.035.240.3
60–6921.622.723.625.328.032.435.336.941.2
70–7921.523.223.925.427.830.933.134.938.9
≥ 8020.021.522.524.126.329.031.132.333.8



20세 이상 여성의 체질량 지수(kg/m2) 값과 연령별 백분위수: 미국, 2011–2014
연령5번째10번째15번째25번째50번째75번째85번째90번째95번째
≥ 20 (전체)19.621.022.023.627.733.236.539.343.3
20–2918.619.820.721.925.631.836.038.942.0
30–3919.821.122.023.327.633.136.640.044.7
40–4920.021.522.523.728.133.437.039.644.5
50–5919.921.522.224.528.634.438.340.745.2
60–6920.021.723.024.528.933.436.138.741.8
70–7920.522.122.924.628.333.436.539.142.9
≥ 8019.320.421.323.326.129.730.932.835.2



과체중 및 비만은 관상 동맥 질환, 이상지질혈증, 제2형 당뇨병, 담낭 질환, 고혈압, 골관절염, 수면 무호흡증, 뇌졸중, 불임, 자궁내막암, 유방암, 결장암을 포함한 10가지 이상의 암,[32] 경막외 지방종[33]의 위험을 증가시킨다.[31]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뇌혈관 장애, 허혈성 심장 질환 등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76] 반면, 저체중은 영양 불량이나 만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BMI는 신장과 체중으로 간편하게 계산되어,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신체 총 지방량과 잘 상관되므로 비만이나 저체중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77]

예를 들어, 비만과 당뇨병은 관련이 있는데, 40~59세 남성의 경우 당뇨병이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의 비율은 BMI 18.5~22에서 5.9%, BMI 22~25에서 7.7%, BMI 25~30에서 14.5%, BMI 30 이상에서 28.6%였다.[97] BMI 30 이상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지방간이지만,[99] BMI 25 미만이면서 건강검진의 혈액 검사 값에 이상이 없는 그룹에서도 약 30%가 지방간이었다고 보고되었다.[100]

스웨덴의 남성 16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사춘기의 BMI는 장래의 심부전 위험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BMI 상승과 함께 심부전 발병률이 급격히 상승한다고 보고되었다.[104]

스포츠계에서는 선수의 과도한 감량을 막고 체중에 따른 유리, 불리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스키 점프나 노르딕 복합과 같은 스키 경기의 일부에서 BMI를 이용한 체중 제한 규칙을 설정하고 있다.

5. 1. BMI와 사망률의 관계

2005년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체질량 지수(BMI)로 정의된 '정상' 체중인 사람들과 '과체중'인 사람들의 사망률은 비슷했고, '저체중'과 '비만'인 사람들의 사망률은 더 높았다.[40] 2009년 The Lancet에 게재된 90만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과체중'과 '저체중'인 사람들 모두 '정상' 체중의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더 높았으며, 최적의 BMI는 22.5~25 범위로 나타났다.[41]

높은 BMI는 혈청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제 수치가 높은 사람에게만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43] 25만 명을 대상으로 한 40개의 연구 분석에서는, '정상' BMI를 가진 관상 동맥 질환 환자가 BMI가 '과체중' 범위(BMI 25~29.9)인 사람들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높았다.[44]

한 연구에 따르면, BMI는 체지방률과 전반적으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만이 흡연을 제치고 세계 사망 원인 1위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체지방으로 정의된 비만은 남성의 50%, 여성의 62%였지만, BMI에 따른 비만은 남성의 21%, 여성의 31%로 나타나, BMI가 비만 대상자의 수를 과소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47]

최대 8년 동안 11,000명의 피험자를 추적한 2010년 연구에서는 BMI가 심장 마비, 뇌졸중 또는 사망 위험을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지표가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더 나은 지표는 허리-신장 비율로 나타났다.[45] 6만 명의 참가자를 최대 13년 동안 추적한 2011년 연구에서는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허혈성 심장 질환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는 지표임을 발견했다.[46]





흡연하지 않는 미국의 백인 남성 및 백인 여성의 BMI별 10년 후 상대적 사망 위험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BMI: 20-24.9가 사망 위험이 가장 낮다.[95]

일본 비만 학회에서는 BMI: 22의 체중을 표준 체중(통계적으로 가장 병에 걸리기 어려운 체중)으로 하고 있다.[96]

일본 후생노동성의 연구에 따르면, 40대 BMI와 평균 수명을 조사한 결과, 과체중(25 ≦ BMI < 30)인 사람이 가장 장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체중' 다음으로, 보통 체중(18.5 ≦ BMI < 25), 비만(BMI≧30), 마른(BMI < 18.5) 사람 순으로 평균 수명이 높았다.[98]

2011년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102], 일본인을 포함한 100만 명의 아시아인을 조사한 결과, BMI가 22.6 - 27.5인 사람이 사망 위험이 가장 적었다.

2013년 1월,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BMI로 "과체중"으로 분류된 그룹이 "정상 체중"으로 분류된 그룹보다 사망 위험이 6% 낮았다.[103] 한편, BMI가 35를 초과하면 사망률은 정상 체중에 비해 29% 증가한다.

6. BMI의 한계와 논란

BMI는 키와 몸무게만으로 비만을 판정하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많다. 체지방률이 아닌 키와 몸무게만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의사들조차도 의문을 제기하는 수준이다.[107][108] 근육은 지방보다 무겁기 때문에,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BMI가 높게 나올 수 있고, 반대로 체지방률이 높지만 BMI가 정상인 '마른 비만'의 경우 건강 위험이 간과될 수 있다.

서울대 연구팀은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의 경우 BMI 22.5~27.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기존 BMI 비만 기준에 대한 논란을 제기했다.[107][108] 2013년 미국 국가보건통계청(NCHS) 연구팀은 과체중(BMI 25~29.9)인 사람의 사망률이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109][110][111]

2005년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정상'' 체중과 ''과체중''인 사람들의 사망률은 비슷했고, ''저체중''과 ''비만''인 사람들의 사망률은 더 높았다.[40] 2009년 ''The Lancet''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최적의 체질량 지수가 22.5~25 범위로 나타났다.[41]

국립 보건 통계 센터(NCHS)의 국민 건강 영양 조사(NHANES) 1994년 자료에 있는 8550명의 남성의 체질량 지수(BMI)와 체지방률(BFP) 간의 상관 관계.


한 연구에 따르면, BMI는 체지방률과 전반적으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BMI에 따른 비만은 남성의 21%, 여성의 31%로 나타나, BMI가 비만 대상자의 수를 과소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47] 2010년 연구에서는 허리-신장 비율이, 2011년 연구에서는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허혈성 심장 질환 사망률을 더 잘 예측하는 지표임을 발견했다.[45][46]

의료계[48]와 통계학계[49]는 모두 BMI의 한계를 강조해 왔다. 2008년 로메로-코랄(Romero-Corral) 등의 연구는 BMI로 정의된 비만(BMI ≥ 30)이 남성의 21%, 여성의 31%에서 나타났지만, 체지방으로 정의된 비만은 남성의 50%, 여성의 62%에서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BMI는 개인의 비만 여부를 판단할 때는 대부분 정확하지만, 비만이 아닌 사람을 판단할 때는 상당히 자주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이다.[47]

''과체중''과 ''비만''의 경계선을 어디에 설정해야 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아, 기준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변화해 왔다. 1998년, NIH 보고서에서는 BMI 25 초과를 과체중, 30 초과를 비만으로 결론 내렸다.[1] 1990년대에 세계 보건 기구(WHO)는 NIH가 설정한 기준과 동일하게 결정하였다. 하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현재 정의에 따라 '과체중'과 '비만'으로 분류된 대다수의 사람들은 실제로 조기 사망의 의미 있는 위험 증가에 직면하지 않는다. 60만 명 이상의 남성과 여성이 참여한 여러 연구의 정량적 분석에서, 가장 낮은 사망률은 BMI가 23에서 29 사이인 사람들에게서 나타났다.[61]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등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76] 어느 정도의 비만이나 저체중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파악하는 것은 이러한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신장과 체중으로 간편하게 계산되는 BMI가 사용된다. BMI의 가장 좋은 점은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신체 총 지방량과 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이다.[77]

스포츠계에서는 스키 점프나 노르딕 복합과 같은 스키 경기의 일부에서 BMI를 이용한 체중 제한 규칙을 설정하고 있다.

6. 1. 인종 및 성별 차이

BMI는 주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인종이나 성별에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아시아인은 서양인에 비해 동일한 BMI에서 체지방률이 높고, 복부 비만의 위험이 더 크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27]

  • 성별 차이: 근육은 지방보다 무겁기 때문에, 근육량이 많은 남성은 날씬해도 BMI가 높게 나올 수 있다. 반면, 근육량이 적고 지방이 많은 여성은 BMI가 낮게 나올 수 있다.
  • 인종 차이: 세계 보건 기구(WHO)는 동남아시아인의 경우 체질량 지수 약 23을 정상/과체중 기준으로 권장한다.[27] 미국 질병 예방 통제 센터(CDC)는 아시아계 미국인은 내장 지방이 쌓이기 쉬우므로 BMI가 23 이상부터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80] 홍콩, 싱가포르도 23을 정상 체중과 그 이상을 나누는 경계로 하고 있다. 일본 비만 학회는 BMI 22를 표준 체중으로,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81]


서울대 예방의학교실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들은 BMI가 22.5 이상 27.5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107][108] 이는 대한비만학회 등의 기존 비만 기준이 한국인 체형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7. BMI 대체 지표

체질량 지수(BMI)는 체지방률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체지방률은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 BMI가 동일하더라도 체지방률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운동선수는 BMI가 높게 나와 "비만"으로 판정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체지방률이 낮아 건강한 상태일 수 있다. 반대로, 마른 비만은 BMI는 정상이지만 체지방률이 높아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허리 둘레는 복부 비만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대한비만학회에서는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을 복부 비만으로 정의한다.[114] 허리 둘레는 특히 내장 지방의 양을 잘 반영하며, 내장 지방은 다른 부위의 지방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남성의 허리 둘레가 102cm 초과, 여성의 경우 88cm 초과일 경우 건강 위험이 높다고 경고한다. 허리 둘레는 BMI보다 비만 관련 질병 위험을 더 잘 예측하는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시아계 인구와 노인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68]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 둘레 단독 측정보다 더 나은 점이 없고 측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70] 허리-키 비율은 허리 둘레를 키로 나눈 값으로, 특정 수치를 초과하면 기대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1]

표면 기반 체형 지수(SBSI)는 체표면적(BSA), 수직 몸통 둘레(VTC), 허리 둘레(WC), 신장(H)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BMI 등 다른 지표보다 체형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2][73] 체형 지수(ABSI)는 복부 둘레를 BMI와 신장을 고려하여 보정한 값으로, 체지방 분포를 반영하여 건강 위험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105]

7. 1. 체지방률

체지방률은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남성은 체지방률이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일 때 보통 '마른 비만'으로 분류된다.[112][113] 마른 비만은 체질량 지수(BMI)는 낮거나 정상인데,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를 의미한다. BMI는 체지방률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률이 낮은 운동선수는 "비만"으로, 체지방률은 높지만 저체중인 사람은 "마름"으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격렬한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체성분 분석기로 체지방률을 측정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

7. 2. 허리 둘레

대한비만학회는 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을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114] 허리 둘레는 다른 부위의 지방보다 더 많은 건강 위험을 초래하는 내장 지방의 좋은 지표이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 따르면, 남성의 허리 둘레가 102cm 초과, (임신하지 않은) 여성의 경우 88cm 초과일 경우,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CVD)의 고위험군으로 간주된다. 허리 둘레는 BMI보다 비만 관련 질병 위험의 더 나은 지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시아계 인구와 노인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68] 남성의 경우 94cm, 여성의 경우 80cm는 "더 높은 위험"을 초래한다고 언급되었으며, NIH 수치는 "훨씬 더 높다".[69]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도 사용되었지만 허리 둘레만 측정하는 것보다 더 나은 점이 없으며, 측정하기가 더 복잡한 것으로 밝혀졌다.[70]

관련된 지표는 허리 둘레를 키로 나눈 값인 허리-키 비율이다. 2013년 연구에서는 허리-키 비율에 대한 중요한 임계값을 연령별로 확인했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 기대 수명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는 40세 미만은 0.5, 40~50세는 0.5~0.6, 50세 이상은 0.6이다.[71]

7. 3. 기타 지표

표면 기반 체형 지수(SBSI)는 체표면적(BSA), 수직 몸통 둘레(VTC), 허리 둘레(WC), 신장(H)의 네 가지 측정값을 기반으로 한다. 1999-2004년 국민 건강 및 영양 조사(NHANES)의 11,808명에 대한 데이터에 따르면 SBSI는 BMI, 허리 둘레 및 체형 지수(ABSI)보다 성능이 뛰어났다.[72][73]

: \mathrm{SBSI} = \frac{(\text{H}^{7/4})(\text{WC}^{5/6})}{\text{BSA VTC}}

SBSI의 단순화된 무차원 형태인 SBSI*도 개발되었다.[73]

: \mathrm{SBSI^\star} = \frac{(\text{H}^2)(\text{WC})}{\text{BSA VTC}}

체질량 지수(BMI)를 개선한 지표로 체형 지수(ABSI)가 있다.[105] ABSI는 복부 둘레를 BMI의 3분의 2제곱과 신장의 2분의 1제곱을 곱한 값으로 나눈 것이다.[105] 이 지표는 체지방 분포도 고려하기 위해 복부 둘레를 계산식에 포함한다.[105]

:\mathrm{ABSI} = {\mathrm{WC} \over {\mathrm{BMI}^{2\over 3} \times {\sqrt{\mathrm{h}}}}}

  • \mathrm{WC}는 미터 단위의 복부 둘레.
  • \mathrm{h}는 미터 단위의 신장.

8. 비만 관련 정책 및 사회적 노력

국가 및 지역 사회는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건강한 식습관 및 신체 활동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Body-mass index and all-cause mortality: individual-participant-data meta-analysis of 239 prospective studies in four continents 2016-08
[2] 논문 Adolphe Quetelet (1796–1874) – the average man and indices of obesity 2008-01
[3] 논문 Notes on the History of Normality – Reflections on the Work of Quetelet and Galton 2006-11-04
[4] 논문 Commentary: Origins and evolution of body mass index (BMI): continuing saga https://academic.oup[...] 2014-06
[5] 간행물 Beyond BMI: Why doctors won't stop using an outdated measure for obesity http://www.slate.com[...] 2013-12-15
[6] 논문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1972-07
[7] 웹사이트 Assessing Your Weight and Health Risk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4-12-19
[8] 웹사이트 Defining obesity http://www.nhs.uk/Co[...] NHS 2014-12-19
[9] 논문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Report of a WHO Expert Committee http://whqlibdoc.who[...]
[10] 웹사이트 About Adult BMI {{!}} Healthy Weight https://www.cdc.gov/[...] 2018-01-26
[11] 서적 The SuRF Report 2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12] 웹사이트 Body Mass Index: BMI for Children and Teens https://www.cdc.gov/[...]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3-12-16
[13] 서적 Handbook of Anthropometry Springer
[14] 웹사이트 Health Survey for England: The Health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http://www.archive2.[...] 2013-12-16
[15] 논문 Challenges of body mass index classification: New criteria for young adult Nigerians
[16] 논문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2004-01
[17] 웹사이트 Body weight chart – ideal goal weight chart https://www.fitnesso[...] Fitness of Body – Health & Wellness site 2019-04-21
[18] 웹사이트 "{{as written|肥満って、 どんな状態?}}" http://www.mhlw.go.j[...]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2013-05-25
[19] 논문 Overweight Japanese with body mass indexes of 23.0–24.9 have higher risks for obesity-associated disorders: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Mongolians 2004-01
[20] 논문 Criteria and classification of obesity in Japan and Asia-Oceania. https://apjcn.nhri.o[...] 2002-12
[21] 웹사이트 Body Mass Index (BMI) http://cardiology.co[...] 2021-07-08
[22] Plain English summary Diabetes: putting people at the heart of service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7-26
[23] Plain English summary Are you at risk of diabetes? Research finds prevention should start at a different BMI for each ethnic group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3-10
[24] 논문 Ethnicity-specific BMI cutoffs for obesity based on type 2 diabetes risk in England: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21-07
[25] 뉴스 Who's fat? New definition adopted http://www.cnn.com/H[...] CNN 2010-04-26
[26] 논문 Body Mass Index – Obesity, BMI, and Health: A Critical Review 2015-04-07
[27] 논문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https://www.who.int/[...] 2004-01-10
[28] 논문 Trends in Obesity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5 to 2014 2016-06
[29] 웹사이트 Selected health conditions and risk factors, by age: the United States, selected years https://www.cdc.gov/[...]
[30] 웹사이트 Anthropometric Reference Data for Children and Adults: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CDC DHHS 2016
[31] 서적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998-09
[32] 논문 Body-mass index and risk of 22 specific canc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5·24 million UK adults null 2014-08
[33] 논문 Multiple epidural steroid injections and body mass index linked with occurrence of epidural lipomatosis: a case series
[34] 논문 Smoking and reverse causation create an obesity paradox in cardiovascular disease 2015-12
[35] 서적 Sports Nutrition Human Kinetics: An Introduction to Energy Production and Performance
[36] 서적 Human Nutrition – a health perspective CRC Press
[37] 논문 Transport mode choice and body mass index: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European-wide study https://www.zora.uzh[...] 2018-10
[38] 간행물 France Just Banned Ultra-Thin Models https://time.com/377[...]
[39] 웹사이트 Israeli Law Bans Skinny, BMI-Challenged Models https://abcnews.go.c[...]
[40] 논문 Excess deaths associated with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2005-04
[41] 논문 Body-mass index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900 000 adults: collaborative analyses of 57 prospective studies 2009-03
[42] 논문 Body Mass Index in Master Athletes: Review of the Literature 2018-07
[43] 논문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obesity on the risk of prevalent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06
[44] 논문 Association of bodyweight with total mortality and with cardiovascular events in coronary arte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cohort studies 2006-08
[45] 논문 The predictive value of different measures of obesity for incident cardiovascular events and mortality 2010-04
[46] 논문 Informativeness of indices of blood pressure, obesity and serum lipids in relation to ischaemic heart disease mortality: the HUNT-II study 2011-06
[47] 논문 Accuracy of body mass index in diagnosing obesity in the adult general population 2008-06
[48] 웹사이트 Aim for a Healthy Weight: Assess your Risk http://www.nhlbi.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3-12-15
[49] 논문 Spurious correlation and the fallacy of the ratio standard revisited
[50] 서적 Fearing the black body : the racial origins of fat phobia http://worldcat.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51] 논문 Letter to the editor 2010-05
[52] 웹사이트 What is the Ponderal Index? https://www.infobloo[...] 2023-09-09
[53] 논문 Body mass index relates weight to height differently in women and older adults: serial cross-sectional surveys in England (1992-2011) 2016-09
[54] 웹사이트 Weight Index Doesn't Tell the Whole Truth https://www.nytimes.[...] 2010-08-31
[55] 논문 Weight-height relationships and body mass index: some observations from the Diverse Populations Collaboration 2005-09
[56] 논문 Physiological models of body composition and human obesity 2007-09
[57] 웹사이트 Why BMI is inaccurate and misleading http://www.medicalne[...] 2013-08-25
[58] 웹사이트 BMI: is the body mass index formula flawed? http://www.medicalne[...]
[59] 웹사이트 BMI Not a Good Measure of Healthy Body Weight, Researchers Argue http://www.livescien[...] 2013-08-22
[60] 논문 Body volume index: time to replace body mass index? https://www.endocrin[...] 2008-04-01
[61] 논문 The epidemiology of overweight and obesity: public health crisis or moral panic? 2006-02
[62] 서적 New Developments in Obesity Research Nova Science Publishers
[63] 논문 Taller people should have Higher BMI's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s their Normal https://biomedres.us[...]
[64] 논문 Scaling of human body composition to stature: new insights into body mass index https://www.scienced[...] 2007-07
[65] 문서 Quetelet A. A Treatise on Man and the Development of his Faculties
[66] 웹사이트 New BMI (Body Mass Index) https://people.maths[...] Mathematical Institute, [[University of Oxford]] 2019-02-05
[67] 논문 '"How much should I weigh?"--Quetelet's equation, upper weight limits, and BMI prime' 2006-02
[68] 웹사이트 Obesity Education Initiative Electronic Textbook – Treatment Guidelines http://www.nhlbi.nih[...] 2016-07-29
[69] 웹사이트 Why is my waist size important? http://www.nhs.uk/ch[...] 2016-07-29
[70] 웹사이트 Waist Size Matters https://www.hsph.har[...] 2016-07-29
[71] 웹사이트 Waist-Height Ratio Better Than BMI for Gauging Mortality http://www.hospimedi[...] 2013-06-18
[72] 웹사이트 A New Potential Replacement for Body Mass Index {{!}} RealClearScience http://www.realclear[...] 2015-12-29
[73] 간행물 Surface-Based Body Shape Index and Its Relationship with All-Cause Mortality
[74] 간행물 Marked regression of abdominal fat amyloid in patients with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during long-term follow-up after liver transplantation 2008-04
[75] 간행물 Body Mass Index: An Emerging Age-Independent Anthropometric Criteria http://indianpediatr[...]
[76] 웹사이트 ストップ・ザ・メタボリックドミノ http://www.lifescien[...]
[77] 웹사이트 About BMI for Adult http://www.cdc.gov/h[...] CDC
[78] 웹사이트 BMI classification http://www.who.int/b[...] 世界保健機関 2017-06-15
[79] 웹사이트 Obesity http://www.nhs.uk/co[...] NHS
[80] 웹사이트 Diabetes and Asian Americans https://www.cdc.gov/[...]
[81] 웹사이트 BMIチェックによって自分の肥満度と標準体重を確認しよう {{!}} HelC+(ヘルシー) https://www.health.n[...] 2020-03-25
[82] Citation BMI Classification Percentile And Cut Off Point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
[83] 웹사이트 21世紀出生児縦断調査(特別報告)結果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84] 웹사이트 乳幼児身体発育評価マニュアル http://www.niph.go.j[...] 2012-03
[85] 웹사이트 Workshop on childhood obesity: summary of the discussion1,2 http://ajcn.nutritio[...] Am J Clin Nutr.70(1):173S-5S, 1999
[86] 웹사이트 Healthy Weight http://apps.nccd.cdc[...] CDC
[87] 웹사이트 妊婦の体重管理 https://web.archive.[...]
[88] 웹사이트 産婦人科診療ガイドライン解説 http://www.jsog.or.j[...]
[89] 웹사이트 Antenatal Care http://www.nice.org.[...] National Collaborating Center for Women's and Children's Health
[90] 간행물 Adolphe Quetelet (1796-1874) -the average man and indices of obesity.
[91] 간행물 Indices of relative weight and obesity.
[92] 간행물 Quetelet's index (W/H2) as a measure of fatness.
[93] 간행물 発育期のBody mass indexと身体組成 日本体育学会 2006-07-10
[94] 웹사이트 Variability in the heritability of body mass index: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https://www.frontier[...]
[95] 간행물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among 1.46 Million White Adults
[96] 웹사이트 11年ぶりに肥満症の診断基準が改訂 http://www.healthcar[...] オムロン ヘルスケア 2016-12-21
[97] 웹사이트 「平成14年度糖尿病実態調査報告」平成16年6月厚生労働省健康局 https://www.mhlw.go.[...]
[98] PDF やっぱり「ちょい太」、やせ形より7年長生き...厚労省調査(6月10日14時32分配信 読売新聞) https://web.archive.[...]
[99] 간행물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の疾患関連遺伝子 https://doi.org/10.1[...]
[100] 간행물 非肥満者における超音波診断による脂肪肝と生活習慣病の関連について https://doi.org/10.1[...]
[101] 간행물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 (NASH): 病態と治療 https://doi.org/10.2[...]
[102] 간행물 Association between body-mass index and risk of death in more than 1 million Asians https://www.ncbi.nlm[...] 2011-02-24
[103] 뉴스 少し太めのほうが健康?米疾病対策センター研究 https://www.afpbb.co[...] afp 2013-01-04
[104] 뉴스 思春期男性のBMIは将来のHFリスクと相関 http://medical.nikke[...]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7-07-26
[105] 서적 BODY 世にも美しい人体図鑑 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106] 웹사이트 New BMI (Body Mass Index) https://people.maths[...]
[107] 뉴스 뚱뚱한 것보다 마른게 낫다? “한국인은 저체중이 더 위험”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3-07
[108] 뉴스 “한국인은 과체중이 사망률 가장 낮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3-04
[109] 뉴스 BMI 기준 살짝 넘기니 더 오래 사네 https://news.naver.c[...]
[110] 뉴스 약간 뚱뚱해야 오래 산다? https://news.naver.c[...]
[111] 뉴스 "뱃살 있으면 빨리 죽는다더니…" 반전 결과 https://news.naver.c[...]
[112] 뉴스 “말랐는데 비만이라고?” 문제는 체지방률이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2-02-09
[113] 뉴스 비만전문 리셋클리닉 박용우 원장 칼럼 마른비만이란? ①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11-11
[114] 웹인용 "<임상영양칼럼> 비만,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https://web.archive.[...] 2013-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